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작가
- 직업 경험
- 원천 스토리
- 특징
- 연관성
- 양판소 소설
- 시장 규모
- 유효롸
- 제4차 산업
- cp 업체
- 판매 방식
- 수익
- 웹소설
- 멀티플랫폼
- 100원
- 높은 유료독자
- 문피아
- 웹소설 유통
- 계약 방법
- 보는 방법
- 종이 소설
- 웹소설 종류
- 웹소설 시장
- 조아라 플랫폼
- 플랫폼
- 전망
- 장르 소설
- 인터넷 소설
- 플랫폼 종류
- OSMU
- Today
- Total
목록웹소설 종류 (2)
웹소설, 장르소설, 시장 규모, 책 유통

웹소설 작가가 하는 일의 종류 웹소설 작가의 일은 창작에만 머물지 않는다. 이것 굉장히 중요한 명제입니다. 그러니까 창작만 하는 사람이 작가다. 이러한 식으로 생각하기가 쉽지만 웹소설 작가는 그렇지 않습니다. 보시면 PC, 워드프로세서의 보급이 됩니다. 저도 90년대 최초로 대학에 갔더니 컴퓨터로 고등학교 때까지는 전혀 컴퓨터로 문서를 작성할 기회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대학교 1학년 갔더니 제가 하필이면 그 세대입니다. 90년대 초중반이지요. 90년대 초중반에 대학을 갔더니 PC로 문서를 작성해서 리포트를 내고 하라. 이러한 식으로 과제를 내라. 이러한 식이었는데 그때만 해도 귀찮다. 왜냐하면 우리 다 타자가 느렸거든. 타자가 느리니까 이것 왜 하느냐? 이러한 식으로 이야기를 했다는 말이에요. 그..

웹소설을 이용하는 방법과 종류 이용권은 24시간 이용권 등 한정된 시간 안에 무조건 무제한 이용 가능한 것이 있는데 이것을 일반적으로 우리가 만화 가게 시스템이라고 해요. 그러니까 이것은 빨리 보는 사람이 이득인 것이에요. 이 이용권을 아무 데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요. 플랫폼마다 이용권 방식을 사용하는 플랫폼이 있고 그렇지 않은 플랫폼이 있어요. 그래서 그러한 플랫폼에 그러한 작품들만 이용권으로 풀린 작품들만 볼 수가 있습니다. 이것은 굉장히 만화 가게도 그렇지요. 만화 가게는 1시간에 1,000원 정도 내고 들어갔다. 요즈음에는 1,000원보다 더 비쌉니다만 1시간에 2,000원, 3,000원 할 것이에요. 1시간에 1,000원 정도 내고 들어갔다고 한다면 어떠한 사람은 그것을 가지고 3권 보..